22일 찾은 경기 광주시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4회 작성일 25-05-26 06:43본문
22일 찾은 경기 광주시 퇴촌면 '나눔의집'.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 3명이 지병 악화로 지난해 병원으로 거처를 옮기거나 세상을 뜨면서 공동생활관은 텅 빈 상태다. 이종구 기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옥선 할머니가 94세 일기로 지난 11일 세상을 떠났다. 한 많은 삶을 뒤로하고 이 할머니가 별세하며 240명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중 생존자는 이제 6명밖에 남지 않았이다. 할머니들이 모여 살며 위안부 운동의 성지로 자리 잡은 나눔의집도 존폐의 기로에 접어들었다.지난 22일 탁 트인 팔당호를 끼고 있는 45번 국도를 따라가자 경기 광주시 퇴촌면 나눔의집에 도착했다. 집 안마당을 지나니 2층짜리 깔끔한 건물이 눈에 들어왔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보금자리(공동생활관)'였다.이옥선 할머니도 이곳에서 25년을 살았다. 2층의 첫 번째 보이는 이 할머니 방은 그대로였다. '이옥선 방'이라는 문패 옆 사진 속에서 학사모를 쓴 할머니는 환하게 웃고 있었다. 책 읽는 것을 좋아하던 할머니답게 '독서박사'라는 소개 문구도 보였다.홍은미 나눔의집 학예실장은 "이 할머니는 죽어서도 나눔의집에 묻히고 싶어 할 만큼 이곳에 애정이 많았다"며 "할머니 장례를 다 치렀는데, 아직까지 생전 모습이 떠올라 근조 화환을 치우지 못하고 보관 중"이라고 안타까워했다. 22일 방문한 경기 광주시 퇴촌면 나눔의집 내 위안부 피해 할머니 공동생활관. 지난해 초부터 생존 할머니 3명이 병원에서 입원 생활을 해 1년 넘게 이곳에 거주하는 할머니가 없다. 이종구 기자 1층에는 위안부 피해 생존자 중 한 명인 강일출(97) 할머니 방도 있었다. 16세 때 일본군에 의해 중국 위안소로 끌려간 강 할머니는 누구보다 일본의 만행을 알리는 데 앞장섰다. 이 방에도 할머니가 쓰던 옷장, 침대, 책 등이 예전과 똑같이 놓여 있었다. 이뿐 아니라 할머니들이 모여 앉아 이야기 꽃을 피우고 음식을 나눠 먹던 거실 한편의 소파, 식당 테이블도 그대로였다.1996년 '사회복지법인 대한불교조계종 나눔의집'이 설립되고 3년 뒤인 1999년 3월 문을 연 공동생활관은 연면적 337㎡ 규모다. 1993년 유엔인권위원회에서 위안부의 진실을 최초로 공개 증언한 인권평화운동가 고 김복동(1926~26·3 대선을 일주일여 앞두고 민심의 흐름이 거세게 흔들리고 있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여전히 선두지만,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가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며 그 뒤를 바짝 쫓고 있다.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도 두 자릿수 지지율에 진입하며 존재감을 키우는 모양새다.강원 민심도 이 같은 전국 판세와 맞물려 급류 속으로 들어섰다. 강원일보는 전국 대표 지역신문 협의체인 한국지방신문협회(강원일보, 경남신문, 경인일보, 광주일보, 대전일보, 매일신문, 부산일보, 전북일보, 제주일보)와 공동으로 전국 민심을 살펴봤다.이번 대선 사전투표를 나흘 앞둔 25일 강원도 유권자들의 마음은 여전히 ‘안갯속’이다. 대선 주자들의 지지율이 엎치락 뒤치락하며 접전을 벌이는 가운데, 춘천·원주·영동권 등 전략지역을 중심으로 민심도 술렁이고 있다. 각 당 선대위가 지지층 결집과 중도층 공략에 사활을 걸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유권자들이 판단을 유보하고 있다.■ 춘천·원주, ‘보수 텃밭’ 속 변화의 진원지=한때 보수의 안정적 지지 기반으로 불렸던 강원은, 2017년 대선을 기점으로 도심을 중심으로 표심 변화가 본격화됐다. 특히 춘천과 원주는 민주당 소속 자치단체장과 국회의원을 잇따라 배출하며 민주당의 전략적 거점으로 자리 잡은 지역이다. 하지만 최근 국민의힘도 공세를 강화하면서 두 도시는 어느 정당도 안심할 수 없는 격전지로 떠올랐다.각 당 선대위가 춘천과 원주를 ‘핵심 지역’으로 분류하고 공을 들이는 것도 이같은 이유에서다. 실제로 현장에선 엇갈린 여론을 확인할 수 있었다.지난 24일 춘천 명동에서 만난 직장인 김영호(46·춘천 석사동)씨는 “이번 선거는 그냥 여야 싸움이 아니라, 누가 민주주의를 지킬 수 있느냐를 보는 거라 생각한다”며 “내란 세력에 표를 주고 싶지 않다”고 강조했다. 반면 자영업자 정경희(58·원주 태장동)씨는 “이재명 후보는 도덕성 논란이 너무 많다. 사법 리스크도 걱정된다”며 “그래도 김문수 후보는 말조심도 하는 편이고, 이미지도 깔끔해서 그런 면에서는 더 신뢰가 간다”고 말했다. ■ “누굴 뽑으란 건지 모르겠다” 결정
- 이전글'어린이보험의 대명사'···70주년 맞은 현대해상, 선두 입지 다진다 25.05.26
- 다음글[인터뷰] 유주영 현대트랜시스 시트설계1팀장21일 현대 25.05.2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