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윤성호 기자 4일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되면서 그동안 윤 전 대통령의 직무 복귀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신중한 행보를 했던 ‘보수 잠룡’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조기 대선에 출마할지 관심이다. 김 장관은 윤 전 대통령의 탄핵 소추안이 국회에서 가결된 직후부터 차기 지도자 선호도 조사에서 줄곧 보수 진영 선두를 달리고 있다.윤 전 대통령 탄핵 초기부터 그에 대한 지지 및 탄핵 반대 입장을 직설적으로 표현한 것이 일부 보수층의 지지를 끌어낸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12·3 비상계엄 사태 후 국회 현안 질의 때 서영교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국무위원 전원 사과 요구를 혼자서 끝까지 받아들이지 않은 것 또한 보수층에 강단 있게 비쳤다는 해석도 있다. 하지만 김 장관은 윤 전 대통령 파면 직전까지도 그의 복귀를 바란다는 입장만 밝혔을 뿐 대선 출마와 관련한 질문에는 극도로 말을 아꼈다.‘조기 대선 시 출마 의향이 있느냐’는 잇따른 기자들의 질의에 "보궐 선거는 대통령이 궐위돼야 하는데 나는 궐위되지 않길 바란다. 궐위를 가정한 답변은 적절치 않다"는 등의 반응을 보였다. 김 장관은 이날 윤 대통령의 탄핵이 인용된 후에도 "국민이 직접 선출한 대통령이 헌법재판소에서 또다시 파면된 것이 안타깝다. 이 아픔을 이겨내고, 오늘의 어려움을 극복해 더 위대한 대한민국으로 발전해 갈 수 있도록 국민 모두 힘을 모아 앞으로 나가자"고 페이스북에 글을 올렸을 뿐, 대선과 관련한 언급은 없었다.김 장관은 이날이 평일이었지만 비공식 일정만 소화하면서 외부 노출을 자제했다. 헌재 선고 또한 집무실이 아닌 서울 모처에서 지켜본 것으로 알려졌다. 현직 국무위원인 그가 국민의힘 대선 후보 경선에 등록할지, 한다면 그 시점이 언제일지에 관심이 쏠린다. 국민의힘 차기 주자들은 다음 주부터 후보 등록을 시작해 본격적인 경쟁 체제에 돌입할 것으로 보인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국무위원과 광역단체장 등은 대선에 출마하려면 선거일 기준 30일 전에 사퇴해야 한다. 하지만 당내 경선의 경우 사퇴 제한이 없다. 김 장관은 경기지사 시절인 크록스는 ‘못생긴 신발’이라고 비판받았지만 오히려 이를 마케팅 포인트로 삼아 인기를 끌었다. 크록스 액세서리인 ‘지비츠’로 알록달록 꾸민 신발을 모델들이 신고 있다. /크록스 제공 ‘크록스(Crocs)’는 역사상 가장 사랑받으면서도 동시에 미움받은 신발 브랜드로 평가된다. 지금은 의사들의 필수 아이템이자 아이들의 애착 신발이 됐지만 한때 ‘I hate crocs dot com’(나는 크록스가 싫어요 닷컴) 같은 블로그가 생길 정도로 안티팬이 많았다. 2010년에는 미국 주간지 ‘타임’이 선정한 최악의 발명품 50개에 포함되며 혹평을 받기도 했다.그러나 크록스는 ‘뭉툭한 앞코에 숭숭 난 구멍이 있는 못생긴 신발’을 있는 그대로 인정했다. 역으로 ‘추한 것도 아름다울 수 있다’는 슬로건을 앞세워 소비자들에게 다가갔다. 미워하는 감정을 적절히 활용해 소비자의 구매욕을 자극한 것이다. 지난해 크록스는 전년 대비 4% 증가한 41억달러(약 5조9500억원)의 매출을 거두며 성장세를 이어갔다.신간 <틀을 깨는 사람들>은 크록스를 포함해 스포티파이, 에어비앤비, 틱톡 등 파괴적 혁신을 달성한 13개 글로벌 기업의 성공 전략을 분석한 책이다. 미국 경영 전문 저널리스트 샐리 퍼시가 이들 기업의 창업 배경에서부터 성장 과정, 성공 요인 등을 압축적으로 제시한다. 그는 “혁신에 대한 남다른 열정과 마케팅, 영업, 제품 개발에서 기존의 틀에 박힌 사고를 벗어나려는 강한 의지”가 이들 기업을 게임 체인저로 만들었다고 강조한다.책은 각 분야 대표 주자로 자리 잡은 기업의 과거를 조명한다. 독립영화 배급사로 시작해 전 세계 수많은 팬을 거느린 미국 영화 제작사 A24 역시 크록스처럼 흑역사를 가진 기업이다. 비평가들은 A24 영화를 두고 “너무 엉망이어서 보는 사람이 지친다”고 혹평을 쏟아냈다. 하지만 이 회사는 굴하지 않고 자신들만의 길을 개척했다. 영화 ‘미드소마’에선 한여름 스웨덴 축제를 배경으로 밝은 낮에도 느낄 수 있는 공포감을 선사했고,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는 다중우주(멀티버스) 세계관이라는 창의적 연출로 작품성과 대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