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클
사진=클립아트코리아 한국 아기가 미국, 호주 아기보다 매일 74분 이상 짧게 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호주 모나시대, 성신여대 심리학과 서수연 공동 연구팀은 6개월, 12개월, 24개월의 유아를 자녀로 둔 한국·미국·호주 보호자 20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해 산모와 유아의 수면 패턴을 비교·분석했다.연구 결과, 12개월 무렵 한국 유아는 미국, 호주 유아보다 수면 시간이 하루에 74분 짧았다. 1주일에 7시간 넘게 수면 시간이 부족했으며, 한국 유아는 모든 시점에서 미국 유아에 비해 밤 수면 시간이 짧고 잠드는 데 더 오래 걸렸다. 호주 유아와 비교했을 때도 12개월 및 24개월 시점에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이는 서구 국가와 비교했을 때 아시아국 유아들의 수면 시간이 더 짧고 취침 시간이 더 늦다는 기존 연구 결과와 일치했다.기존에는 이런 현상이 과열된 학업 경쟁으로 인한 바쁜 학원 일정이 주된 원인으로 지목됐으나, 이번 연구를 통해 아시아 국가 유아들의 짧은 수면 시간은 학창 시절보다 훨씬 이른 돌 전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아기가 잠자는 시간이 짧다 보니 한국 산모의 불면증도 미국, 호주보다 많았다. 한국 산모는 아기와 같이 자는 경우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12개월 유아가 부모와 한 침대에서 자는 것을 선호하는 양상은 한국이 85%로 가장 높았다. 호주는 31%, 미국은 6%였다. 서구권은 생후 6~8개월이 되면 유아가 혼자 자는 연습을 하도록 부모와 함께 자는 것을 지양한다.한국 산모에게 불균형하게 가중되는 야간 육아 부담, 아버지의 늦은 퇴근 시간으로 인해 아이들의 취침 시간이 지연되며, 선진국가와는 달리 동침을 고집하는 수면 문화가 산모들의 불면증으로 이어져 결국 저출산과 같은 사회 문제로 확산되고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연구 저자 서수연 교수는 “한국 유아는 태어날 때부터 선진국보다 적게 잔다”며 “이 기회를 통해 야간 양육과 관련된 수자신을 성폭행한 남성들의 범죄를 법정에서 공개 증언한 프랑스 여성 지젤 펠리코가 프랑스 최고 영예 훈장을 받는다. 2024년 12월 19일(현지시간) 프랑스 아비뇽에서 사건에 대한 판결이 내려지기 전에 변호사 앙투안 카뮈와 함께 법원 앞에 도착해 있다. 게티이미지 프랑스 언론들은 프랑스 혁명 기념일(7월14일)을 하루 앞둔 13일(현지시간) 발표된 레지옹 도뇌르 서훈자 명단에 지젤이 포함됐다고 보도했다.[플랫]강간 사주한 남편 고발한 71세 프랑스 여성…“나는 부끄러워하지 않기로 했다”[플랫]강간 사주한 남편 고발한 여성이 말했다 “온 사회가 증인 되어 줄 것”올해 72세인 지젤은 전남편 도미니크 펠리코의 재판에서 익명 보장 권리를 행사하지 않고 이름과 얼굴을 드러낸 채 직접 아비뇽 법원에 출석해 범죄 피해를 증언했다. 2024년 9월 첫 재판부터 12월 선고 때까지 매번 나갔다.재판 당시 자신의 공개 증언 등을 두고 “성폭행 피해를 입은 모든 여성이 ‘펠리코 부인이 했으니, 나도 (범죄 피해 사실 공개 증언을) 할 수 있다’고 말하길 바란다. 수치심은 피해자가 아니라 가해자가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도미니크는 아내에게 약물을 먹여 기절시킨 뒤 다른 남성들이 그를 성폭행하도록 한 혐의 등으로 기소됐다. 이 범죄는 2011년 7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10년 동안 이어졌다.수사 당국은 성폭행 92건, 가담자는 72명이라고 발표했다. 강간범 모두 펠리코 부부가 살던 마을 반경 50㎞ 내에 살았다. 언론인, 소방관, 배달원, 교도관 등이 가담했다. 도미니크는 이들을 온라인으로 모집했다. 그는 가중 강간 혐의로 1심에서 징역 20년형을 선고받았다.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유죄 판결 뒤 “(지젤의) 품위와 용기는 프랑스와 전 세계에 감동과 영감을 줬다”고 말했다.지젤은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이 선정한 ‘2025년 올해의 여성’ 중 한 명이다. 그는 자신의 이야기를 담은 회고록을 내년 초 출간한다.▼ 김종목 기자 jomo@khan.kr플랫팀 기자 flat@kyunghyang.com
사진=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