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發 관세전쟁에 美 경제 패닉나스닥 등 3대 지수 역대급 폭락… WSJ “경기침체 공포 빠르게 확산”정치권 “트럼프 탓에 한중일 손잡아”공화서도 ‘관세 제동법안’ 속속 발의브라이언 샤츠 미국 민주당 상원의원이 4일(현지 시간) 워싱턴 상원 의회 본회의장에서 한중일 통상장관들이 나란히 서서 악수하는 장면을 흉내내고 있다. 샤츠 의원은 “(미국의 동맹에 대한 관세 폭탄으로 인해) 한일중이 우리에 대항해 뭉치고 있다”고 말했다. 사진 출처 브라이언 샤츠 의원 유튜브 캡처“미국에 ‘해방의 날’이 아니었다. 미국 경제 역사상 가장 큰 자해 행위로 기록될 일이었다.”(영국 파이낸셜타임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글로벌 상호 관세 발표 뒤 미 뉴욕 증시가 역대급 폭락을 이어가는 가운데 5일(현지 시간) 모든 국가들에 부과된 10% 기본 관세가 발효됐다. 9일부터는 기본 관세에 더해 국가별로 가산되는 상호 관세가 부과될 예정인 데다 이미 중국이 미국에 대한 34% 보복 관세를 발표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의 충격이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미국 경제계뿐 아니라 여당인 공화당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한 우려와 반발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를 앞세운 통상 전쟁에서 물러날 뜻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그는 트루스소셜을 통해 “이것은 ‘경제 혁명’이고 우리는 이길 것”이라며 “끈기 있게 버텨내라(Hang Tough)”고 밝혔다. 이어 “쉽진 않겠지만 최종 결과는 역사적일 것”이라며 “중국은 미국보다 훨씬 더 큰 타격을 입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조만간 반도체, 의약품에 대한 품목 관세도 발표할 예정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불안은 빠르게 퍼지고, 글로벌 경기 침체 확률은 높아지고 있다”고 전했다.● 美 증시 연이틀 패닉… 파월도 인플레 우려4일 미 증시에서는 전날에 이어 또 한 번 뉴욕 증시 3대 지수가 일제히 폭락했다. 이로 인해 이틀 새 6조6000억 달러(약 9646조 원)가 증발했다. 이틀 동안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10.5%,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9.3%, 기술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1.4% 폭락했다. 특히 나스닥 하락 폭은 최고점 대비 22.7%에 달한다트럼프發 관세전쟁에 美 경제 패닉나스닥 등 3대 지수 역대급 폭락… WSJ “경기침체 공포 빠르게 확산”정치권 “트럼프 탓에 한중일 손잡아”공화서도 ‘관세 제동법안’ 속속 발의브라이언 샤츠 미국 민주당 상원의원이 4일(현지 시간) 워싱턴 상원 의회 본회의장에서 한중일 통상장관들이 나란히 서서 악수하는 장면을 흉내내고 있다. 샤츠 의원은 “(미국의 동맹에 대한 관세 폭탄으로 인해) 한일중이 우리에 대항해 뭉치고 있다”고 말했다. 사진 출처 브라이언 샤츠 의원 유튜브 캡처“미국에 ‘해방의 날’이 아니었다. 미국 경제 역사상 가장 큰 자해 행위로 기록될 일이었다.”(영국 파이낸셜타임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글로벌 상호 관세 발표 뒤 미 뉴욕 증시가 역대급 폭락을 이어가는 가운데 5일(현지 시간) 모든 국가들에 부과된 10% 기본 관세가 발효됐다. 9일부터는 기본 관세에 더해 국가별로 가산되는 상호 관세가 부과될 예정인 데다 이미 중국이 미국에 대한 34% 보복 관세를 발표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의 충격이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미국 경제계뿐 아니라 여당인 공화당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한 우려와 반발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를 앞세운 통상 전쟁에서 물러날 뜻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그는 트루스소셜을 통해 “이것은 ‘경제 혁명’이고 우리는 이길 것”이라며 “끈기 있게 버텨내라(Hang Tough)”고 밝혔다. 이어 “쉽진 않겠지만 최종 결과는 역사적일 것”이라며 “중국은 미국보다 훨씬 더 큰 타격을 입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조만간 반도체, 의약품에 대한 품목 관세도 발표할 예정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불안은 빠르게 퍼지고, 글로벌 경기 침체 확률은 높아지고 있다”고 전했다.● 美 증시 연이틀 패닉… 파월도 인플레 우려4일 미 증시에서는 전날에 이어 또 한 번 뉴욕 증시 3대 지수가 일제히 폭락했다. 이로 인해 이틀 새 6조6000억 달러(약 9646조 원)가 증발했다. 이틀 동안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10.5%,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9.3%, 기술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1.4% 폭락했다. 특히 나스닥 하락 폭은 최고점 대비 22.7%에 달한다. 미국 기업 시가 총액 1위인 애플은 3일(―9.25%)에 이어 4일에도 7% 넘게 폭락하며 시총 3조 달러가 무너졌다